(인용) 다면적 인성검사(MMPI)는 심리검사 중의 하나로 이 검사만으로는 정신과적 진단을 내리는 것이 매우 부적절하고, 최근 공공기관 및 각 기업체의 인사선발 과정 등 비정신과 영역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검사인 점을 감안할 때 당해 보험계약의 청약서에서 정밀검사로 예시하고 있는 심전도, 방사선, 조직검사 등과 같이 중요성을 갖는 검사에 포함된다고 보기 어렵다 할 것임. (2011.3.22. 조정번호 제2011-18호)
'1. 계약전 알릴의무 위반 등 > (3) 기타 질환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지의무 위반에 따른 담보 삭제 및 부담보 설정의 효력 발생 여부 (0) | 2020.09.17 |
---|---|
안저검사 결과 미고지가 계약전 알릴의무 위반인지 여부 (0) | 2020.09.16 |
건강검진상 심근경색 의증소견 미고지가 계약전 알릴의무 위반인지 여부 (0) | 2020.09.16 |
계약체결일 3년 경과후 계약전 알릴의무 위반으로 해지 가능 여부 (0) | 2020.09.15 |
부활계약시 최초계약 이후 발생한 B형간염 치료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경우 계약해지의 적정성 및 간경화와의 인과관계 (0) | 2020.09.14 |
댓글